IT&Security

IT&Security

  • 분류 전체보기 (24)
    • 컴퓨터과학 (1)
      • 자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(1)
      • 컴퓨터 구조 (0)
      • C언어 (0)
    • 시스템 해킹 및 보안 (0)
      • 시스템 기본 (0)
      • 시스템 공격기법 (0)
      • 시스템 방어기법 (0)
    • 네트워크 해킹 및 보안 (1)
      • 네트워크 기본 (1)
      • OSI 7계층 (0)
      • TCP,IP (0)
      • 네트워크 공격기법 (0)
      • 네트워크 보안기법 (0)
    • 웹 해킹 및 보안 (2)
      • 웹 취약점 (2)
      • 웹 해킹 신기술 (0)
    • 악성코드 분석 (0)
    • 보안 인증체계 (1)
      • ISMS (1)
      • ISO 27001 (0)
      • PCI-DSS (0)
    • 프로그래밍 (0)
      • JSP 웹개발 (0)
      • PYTHON (0)
      • 웹개발 (0)
    • 인프라 보안 (6)
      • 인프라 진단(UNIX 서버) (1)
      • 인프라 구축 (2)
      • 인프라 진단(WINDOWS 서버) (0)
      • 인프라 진단(DBMS) (0)
      • 인프라 진단(네트워크 장비) (1)
      • 인프라 진단(보안장비) (0)
      • 인프라 진단(PC) (0)
      • 인프라 진단(WEB & WAS) (2)
    • 클라우드 운영 및 보안 (0)
      • AWS (0)
    • 모바일 앱 해킹 및 보안 (12)
      • Android (7)
      • iOS (5)
  • 홈
  • 방명록
RSS 피드
로그인
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IT&Security

컨텐츠 검색

태그

가상머신 ISMS 보안 vsftpd ISMS 인증 KISA VirtualBox 한국인터넷진흥원 안드로이드 Linux CentOS SSL Burp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서 ftp android FileZilla

최근글

댓글

공지사항

아카이브

컴퓨터과학(1)

  • 심볼 테이블(Symbol Table) [1]

    심볼 테이블 자료구조를 배우는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심볼 테이블(Symbol Table)입니다. 심볼 테이블은 키와 키 값을 일대일로 연관시켜주는 자료 구조로써, 여러 다양한 알고리즘에 쓰이고 있습니다.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가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사전입니다. 사전을 예로 들자면, 사전의 단어가 키가 되고, 그 단어의 의미가 키 값이 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단어와 의미를 일대일로 연관시키면, 나중에 단어의 의미를 찾을 때 쉽게 찾을 수 있죠. 사전 말고도,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어셈블리어 언어로 변환시켜주는 컴파일러도 심볼 테이블의 형식을 띠고 있습니다. 심볼 테이블이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보았으니, 이제 심볼 테이블을 구현하는 API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void..

    2017.02.04
이전
1
다음
티스토리
© 2018 TISTORY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